영어 회화, 술술 하고 싶으시죠? 그런데 should, have to, be supposed to 때문에 머리가 핑핑 돈다고요? 😫 모두 '~해야 한다'는 뜻 같지만 미묘한 뉘앙스 차이 때문에 헷갈리기 쉽습니다. 이 포스팅에서는 should, have to, be supposed to 의 의미와 용법을 확실하게 짚어드릴게요! 실제 예문과 함께 뉘앙스 차이를 마스터하고, 영어 회화 실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 보세요! 🚀
1. Should: 주관적인 조언과 권고
Should 는 화자의 주관적인 생각, 조언, 권고를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. "~하는 것이 좋겠다", "~해야 한다(단, 의무는 아님!)"라는 의미를 담고 있죠. 도덕적 의무나 개인적인 생각을 표현할 때도 딱! Should 는 강제성이 낮아 ought to 로 대체 가능하다는 점, 기억해 두세요! 😉
1.1 Should 사용 예시
- You should drink more water. (물을 더 마시는 게 좋겠어요.) - 건강을 위한 조언이죠!
- You should apologize to him. (그에게 사과해야 해요.) - 도덕적인 관점에서의 권고입니다.
- You should try this new restaurant. (이 새 레스토랑에 가보는 게 좋겠어요.) - 개인적인 추천!
1.2 Shouldn't 사용 예시
Shouldn't 는 "~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", "~해서는 안 된다"라는 의미인데, 역시 화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핵심입니다.
- You shouldn't eat too much fast food. (패스트푸드를 너무 많이 먹지 않는 게 좋겠어요.) - 건강에 대한 걱정 어린 조언이네요.
- You shouldn't judge a book by its cover. (겉모습으로 판단하면 안 돼요.) - 삶의 지혜를 담은 조언!
2. Have to: 객관적인 의무와 필수
Have to 는 외부적인 요인에 의한 의무나 필수를 나타냅니다. "~해야 한다"는 의미인데, 규칙, 법, 상황 등 어쩔 수 없이 해야 하는 일을 표현하죠. Must 와 비슷하지만, must 는 화자의 강한 의지가 담겨 있는 반면, have to 는 외부적인 강제성을 강조한답니다. 시제 변화도 자유자재! 😎
2.1 Have to 사용 예시
- I have to submit this report by Friday. (이 보고서를 금요일까지 제출해야 해요.) - 마감일의 압박!
- We have to follow the company's regulations. (회사 규정을 따라야 합니다.) - 회사원의 숙명!
- They had to postpone the event due to bad weather. (악천후 때문에 행사를 연기해야 했습니다.) - 어쩔 수 없는 상황!
2.2 Don't have to 사용 예시
Don't have to 는 "~할 필요가 없다"라는 뜻으로, 의무의 부재를 나타냅니다. Don't need to 와 비슷하지만, don't have to 는 외부 요인에 의한 면제, don't need to 는 자발적인 선택에 의한 불필요성을 표현하는 미묘한 차이가 있어요!
- You don't have to wear a uniform today. (오늘은 유니폼을 입을 필요가 없어요.) - 드디어 자유!
- They don't have to come to the office if they finish the task. (업무를 끝내면 사무실에 올 필요 없어요.) - 재택근무 만세!
3. Be supposed to: 기대와 예상, 약속된 의무
Be supposed to 는 "~하기로 되어 있다", "~해야 한다(예상/기대)"라는 의미입니다. 규칙, 약속, 관습, 예상 등에 따라 마땅히 해야 하는 행동을 표현하죠. Should 처럼 ought to 로 대체 가능한 경우도 있지만, be supposed to 는 should 보다 더 강한 기대나 예상을 담고 있다는 사실! 과거의 불이행된 기대나 예상을 표현할 때도 쓴답니다.😲
3.1 Be supposed to 사용 예시
- The meeting is supposed to start at 2 PM. (회의는 오후 2시에 시작하기로 되어 있어요.) - 회의 시간 공지!
- I am supposed to call the client tomorrow. (내일 고객에게 전화하기로 했어요.) - 약속은 지켜야죠!
- You were supposed to submit the report yesterday! (어제 보고서를 제출하기로 했잖아요!) - 😱 마감일을 놓쳤네요!
3.2 Be not supposed to 사용 예시
Be not supposed to 는 "~해서는 안 된다", "~할 예정이 아니다"라는 의미로, 금지나 예상의 부정을 나타냅니다.
- You are not supposed to enter this area. (이 구역에는 들어가면 안 됩니다.) - 출입 금지!
- He is not supposed to be working today. (그는 오늘 근무할 예정이 아니에요.) - 오늘은 쉬는 날!
4. Should vs. Have to vs. Be supposed to: 실전 비교 분석
자, 이제 실전 연습! 💪 회사 첫 출근 날 지각에 대한 세 가지 표현을 비교해 볼까요?
- Should: You shouldn't be late on your first day. (첫날에 늦지 않는 게 좋겠어요.) - 선배의 따뜻한 조언
- Be supposed to: You're not supposed to be late on your first day. (첫날에 늦으면 안 돼요. / 첫날에 늦는 건 예상 밖이에요.) - 회사 규칙이나 기대에 어긋남을 강조
- Have to: You have to be on time on your first day. (첫날에는 제시간에 와야 해요.) - 회사 규칙이나 상황에 따른 의무
5. 핵심 정리 및 추가 설명
조동사 | 의미 | 강도 | 부정형 | 예시 (긍정) | 예시 (부정) |
Should | 주관적 조언/권고 | 약함 | Shouldn't | You should exercise regularly | You shouldn't smoke. |
Have to | 객관적 의무/필수 | 중간 | Don't have to | I have to finish this project. | You don't have to come. |
Be supposed to | 기대/예상/약속된 의무 | 중간 | Be not supposed to | We're supposed to meet at 3 PM. | You're not supposed to be here. |
Must | 강한 의무/확신/추측 | 강함 | Must not (금지) | I must go now. | You must not tell anyone. |
Must 는 have to 보다 강하고 화자의 주관이 강하게 드러나는 표현입니다. Must not 은 "~해서는 절대 안 된다"라는 강한 금지를 나타내죠. Should 와 be supposed to 는 ought to 로 대체 가능한 경우도 있지만, be supposed to 가 should 보다 기대나 예상의 강도가 더 강합니다. (Be) allowed to 는 허락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"~해도 된다"라는 의미를 가집니다.
자, 이제 should, have to, be supposed to 정복 완료! 🎉 이 세 가지 조동사를 자유자재로 활용해서 영어 회화 능력을 마음껏 뽐내보세요! ✨ 다음에는 더욱 유익한 영어 팁으로 돌아오겠습니다! 😉